진료과) 가정의학과,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관련 신체기관) 심장

정의
18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
혈압을 읽을때에는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확장기 혈압(최저혈압)으로 나누어 읽음
수축기혈압 :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확장기혈압 :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
크게 2가지로 분류
이차성 고혈압
: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고 이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본태성(일차성) 고혈압
: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전체 고혈압 환자의 95%는 본태성 고혈압,
근본적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박출량(cardiac output ; 심장에서 1분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의 증가나 말초 혈관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됨
위험인자/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이 있음
[합병증]
<심장비대>
심장 혈관에 이상이 생기면서 심장 크기가 커지는 것
혈관에 영향을 주는 높은 혈압 이상의 힘이 있어야 심장에서 내보내야하는 피가 잘 나갈 수 있어 심근세포가 커지면서 모습은 비대해지고 기능은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남
<부정맥>
심장비대와 연관, 심장비대가 섬유화로 이어져 심근이 딱딱하게 되어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나타남
대표적 증상 : 심방세포, 심실조기수추그 심실빈맥 등 급사 가능성을 높임
<심근허혈>
심근에 혈액 공급 역할을 하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함
관상동맥에 생기는 질환, 혈액 공급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
<협심증>
관상동맥 내부에 지질 등의 축적으로 길이 좁아져 혈류 흐름이 원할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
<심근경색증>
혈관이 막히면 피가 공급되지 못하고 피를 통해 산소 및 영양소를 받아 움직여야 하는 심장근육이 역할 수행을 할 수 없게 되면서 괴사가 일어나는 것
<심부전>
심장비대는 심근비대와 섬유화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결국 심근이 탄력을 잃어 원활한 심박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전신으로 피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증상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1) | 2024.04.08 |
---|---|
고지혈증 hyperlipidemia (1) | 2024.04.07 |
봉화직염 cellulitis (0) | 2024.03.21 |
폐암-방사선 치료 (0) | 2024.03.07 |
폐암-재발 및 전이 (0)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