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건강의학21

간경화(Liver cirrhosis) [간의 구조]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성인에서는 무게가 1.2kg~1.5kg정도.간은 쐐기 모양으로 오른쪽 횡경막 아래에 위치하며 갈비뼈가 보호하고 있음간은 크게 오른쪽과 왼쪽 두 개의 간엽으로 나뉘며, 두 개의 간엽은 약 10만개의 간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음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간 내 담관을 통해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됨 여러 원인에 의해서 간세포가 손상되고 간조직에서 섬유화가 진행되면 정상적인 간의 구조들이 비정상적인 재생 결절(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로 바뀌게 됨간경화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간이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간 문맥압이 상승하여 신체에 여러가지 문제가 생기게 되는 질병  [간의 기능] 간은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 2024. 6. 19.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진료과 :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관련 신체기관 : 심장, 관상동맥 정의 죽상경화증은 오래된 수도관이 녹이 슬고 이물질이 침착하여 지름이 좁아지게 되는 것처럼, 주로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난 결과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을 말한다. 죽종 내부는 죽처럼 묽어지고 그 주변 부위는 단단한 섬유성 막인 ‘경화반’으로 둘러싸이게 되는데, 경화반이 불안정하게 되면 파열되어 혈관 내에 혈전(thrombus; 피떡)이 생긴다. 또한 죽종 안으로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 혈관 내부의 지름이 급격하게 좁아지거나 혈관이 아예 막히게 되고, 그 결과 말초로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긴다. 동맥경화증은 주로 혈관의 중간층에 퇴행성 변.. 2024. 4. 8.
고지혈증 hyperlipidemia 진료과 : 내분비내과, 순환기내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관련 신체기관 : 심혈관계 정의 고지혈증은 혈중에 지질 성분이 증가한 상태이다. 혈관벽에 쌓여 죽상경화증을 일으키거나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비슷한 용어로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으로 칭하기도 한다. 원인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고,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증상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내에 중성지방이 크게 증가하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췌장염의 증상은 복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아킬레스건에 황색.. 2024. 4. 7.
고혈압 hypertension(정의, 합병증 등) 진료과) 가정의학과,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관련 신체기관) 심장 정의 18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 혈압을 읽을때에는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확장기 혈압(최저혈압)으로 나누어 읽음 수축기혈압 :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확장기혈압 :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 크게 2가지로 분류 이차성 고혈압 :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고 이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본태성(일차성) 고혈압 :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전체 고혈압 환자의 95%는 본태성 고혈압, 근본적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박출량(cardiac output ; 심.. 2024. 4.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