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항암화학요법3

폐암-재발 및 전이 폐암은 재발이나 전이가 많고 완치율이 낮아서 다른 암에 비해 사망률이 높음. 그러므로 폐암 치료가 일단 끝났다 해도 재발과 새로운 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추후 관리가 매우 중요함.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55~80%가 처음 진단 당시 이미 국소적으로 진행되었거나 전이가 일어난 상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없는 3~4기 환자들은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이 치료의 근간을 이루며, 이 경우 치료 목표는 생존 기간의 연장과 증상 완화. ‘고식적(姑息的, palliative)’이란 근본적인 것이 아니고 임시변통으로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뜻. 또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라 해도 20~50%쯤이 재발하므로, 여기에 소세포폐암까지 고려하면 결국 폐암 환자 대다수가 항암화학요법의 대상이 된.. 2024. 3. 7.
폐암-항암화학요법 소세포폐암은 병기와 상관없이 항암화학요법이 주된 치료 원칙이며 제한적 병기에서는 방사선치료를 병용 비소세포폐암에서 항암화학요법은 병기 3기의 경우 수술이나 방사선치료와 병용하고 4기에서는 유일한 치료법. 2기와 일부 1기 환자에게는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도 함 3B기와 4기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의 목표는 생명 연장과 증상 완화임. 반응이 좋은 환자는 상당 기간 병이 안정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며 일부 환자는 장기 생존이 가능함. 다만,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암의 완치를 목적으로 할 수 없으며 약물의 내성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약물을 중단하고 다른 약물로의 변경을 고려해야함 항암제는 크게 일반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치료제, 면역 항암제 등으로 나눌 수 있음. 현.. 2024. 3. 7.
폐암-치료원칙 주된 방법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 * 비소세포폐암 비교적 서서히 진행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면 수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음 -1,2기 : 국한된 병기이므로 국소 치료가 우선. 근치적 목적의 수술적 절제가 완치 확률이 가장 높은 표준 치료. 하지만 환자의 전신 상태가 불량하여 수술의 위험성이 큰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로 대체하기도 함. 수술적 절제를 하는 경우는 수술 검체로부터 확정 병기를 알 수 있으며, 확정 병기는 수술 전 예상 병기와 다를 수 있음. 확정 병기에 따라서 보조적 항암치료를 추가하기도 함 -3A기 : 림프절 전이양상에 따라 다양한 예후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각 상황마다 치료 방법이 상이함.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가 다양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광.. 2024. 3. 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