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건강의학21

폐암-치료원칙 주된 방법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 * 비소세포폐암 비교적 서서히 진행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면 수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음 -1,2기 : 국한된 병기이므로 국소 치료가 우선. 근치적 목적의 수술적 절제가 완치 확률이 가장 높은 표준 치료. 하지만 환자의 전신 상태가 불량하여 수술의 위험성이 큰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로 대체하기도 함. 수술적 절제를 하는 경우는 수술 검체로부터 확정 병기를 알 수 있으며, 확정 병기는 수술 전 예상 병기와 다를 수 있음. 확정 병기에 따라서 보조적 항암치료를 추가하기도 함 -3A기 : 림프절 전이양상에 따라 다양한 예후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각 상황마다 치료 방법이 상이함.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가 다양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광.. 2024. 3. 7.
폐암-진행단계 진행단계 비소세포폐암은 TNM분류법으로 병기를 정함. 이 세요소를 조합하여 병기를 1~4기로 구분하는데 소세포암은 급속히 성장하여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한성 병기와 확장성 병기로만 나눔 잠재암종 종양이 평가가 안되었거나, 가래검사나 기관지내시경 세척검사상에는 암세포가 관찰되나 영상이나 기관지내시경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경우 0 상피내암 1기 1A1 종양 크기가 직경 1cm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A2 종양크기가 직경 1cm-2 cm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A3 종양 크기가 직경 2cm-3 cm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1B 종양 크기가 직경 3cm-4 cm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2기 2A 종양 크기가 직경 4cm-5 cm이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2024. 3. 7.
폐암-병기 판정을 위한 추가 검사 -전신 뼈 스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전신 뼈 스캔(bone scan)을 통해 암의 뼈 전이 여부 검사 -뇌 자기공명영상(MRI)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커다란 자석통에서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체 부위에 있는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해 영상화하는 방법, 방사선 노출 없이 조직의 해상도가 높은 비침습적인 검사. 폐암 환자에서는 뇌 전이가 있는지 검사할 때 주로 촬영하며 조영제 사용할 수 있음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암세포가 다른 세포들에 비해 빨리 자라므로 물질대사가 활발하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 암세포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포도당이나 아미노산, 또는 핵산에 양전자 방출체인 동위원소를 붙여 환자에게 주사한 뒤 이 검사를 하면, 암이 있는 부위에서 동위원소의 흡수가 많.. 2024. 3. 7.
폐암-일반적 증상 폐암은 초기 증상이 없음은 물론이고, 어느 정도 진행한 후에도 감기 비슷한 기침과 객담(가래)외의 별다른 이상이 안 보이는 수가 많아서 진단이 매우 어려움. 또한, 암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증상도 다르게 나타남. [진행 단계별 증상] 1.국소적으로 암종이 커져서 생기는 증상 :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등 2.주위 조직을 침범하여 생기는 증상 후두신경 침범 : 쉰 목소리 3.식도침범 : 연하곤란, 상대정맥증후군 4.전이에 의해 생기는 증상 : 뇌 전이에 따른 뇌기능 장애와 두통, 구토, 뼈 전이에 따른 뼈의 통증 등 5.암세포에서 생성되는 물질에 의해 생기는 증상 : 식욕부진, 발열, 이상, 호르몬 생성 -기침 -피 섞인 가래 혹은 객혈 -호흡 곤란 -흉부의 통증 -쉰 목소리 -상대정맥증후군 -두통.. 2024. 3. 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