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의료의 질 관리-요약3

by 나굼벵이 2024. 3. 7.
728x90
반응형
SMALL

의료의 질 관리의 유형

QC
(질 통제)
특정의료서비스가 표준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하고 감시하는 것
QA
(질 보장)
의료서비스가 일정 수준의 기중과 표준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여 표준에 맞는 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질적으로 불량한 의료 행위를 찾아내는 데 관심, 결과적 측면 강조
QI
(질 향상)
모든 직원이 참여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예방적, 조직적, 체계적, 지속적인 활동
진료를 포함한 의료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며, 결과를 포함한 서비스 전 과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함
QM
(질 관리)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의 질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활용되는 프로세스
의료의 질을 확보하는 한편, 환자의 만족, 인간성 존중을 바탕으로 전 직원이 참여해 경쟁력을 키우는 것
TQM
(총체적 질 관리)
직원의 잠재력과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환자 및 조직의 요구를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만족시키는 모든 활동을 포함한 경영 철학
CQI
(지속적인 질 향상)
TQM의 개념에서 지속적인 질 평가와 질 향상을 강조
PI 업무수행 향상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 가능한 노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단계

 

Donabedian의 접근방법

구조
(Structure)
진료의 수단과 여건
물적 자원, 인적 자원
구조 평가
· 면허 또는 자격 인정 제도 : 의료제공자 개인을 대상으로 한구조적인 평가 접근법
· 의료인 연수 교육 : 의학 지식 및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나라마다 의료인 연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과정
(Process)
이들 내부에서 일어나는 행위에 관한 것으로 의료의 질 평가에 있어 주된 관심의 영역
이용도 조사(UR)
· 적절한 수준, 강도, 비용으로 제공되었는지
임상진료지침
표준진료지침(CP)
동료심사(Peer review)
의무기록 조사
· 의무기록을 기초로 하여 평가하는 방법
결과
(Outcomes)
의료 행위로 인한 의료이용자의 현재 또는 미래의 지식, 태도, 건강 상태, 만족도 등의 변화를 평가(결과에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까지 포함)
치료결과 평가 : 사망률, 합병증률, 감염률, 재원일수 등
만족도 조사 : 고객만족도 조사, 환자경험 평가

 

 

728x90
반응형
LIST